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method and this
    Study/JavaScript 2020. 6. 2. 22:46

    객체는 사용자(user), 주문(order)등과 같이 실제 존재하는 개체 (entity)를 표현하고자 할 때 생성된다. 

     

    let user = {
    	name: "John",
        age: 30
    };

     

    사용자는 현실에서 장바구니에서 물건선택하기, 로그인하기, 로그아웃하기 등의 행동을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를 나타내는 객체 user도 특정한 행동을 할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에선 객체의 프로퍼티에 함수를 할당해 

    객체에게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해준다.

     

     

     

    매서드 만들기


    객체 user에게 인사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해 보자.

     

    let user = {
    	name: "John",
        age: 30
    };
    
    user.sayHi = function() {
    	alert("안녕하세요!");
    };
    
    user.sayHi();   //안녕하세요!

     

    함수 표현식으로 함수를 만들고 객체 프로퍼티 user.sayHi에 함수를 할당해 주었다.

     

    이제 객체에 할당된 함수를 호출하면 user가 인사를 해준다. 

     

    이렇게 객체 프로퍼티에 할당된 함수를 메서드(method)라고 부른다.

     

    위 예시에선 user에 할당된 sayHi가 메서드이다. 

    메서드는 아래와 같이 이미 정의된 함수를 이용해서 만들 수도 있다. 

     

    let user = {
    	// ...
    };
    
    // 함수 선언
    function sayHi() {
    	alert("안녕하세요!");
    };
    
    // 선언된 함수를 메서드로 등록
    user.sayHi = sayHi;
    
    user.sayHi();   // 안녕하세요!
    
    //함수를 대입할 때는 ()를 안써도 되는데, 함수를 결과를 호출할때는 ()를 사용해야한다. 
    //함수명만 사용하면 함수자체가 출력됨.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객체를 사용하여 개체를 표현하는 방식을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bject Oriented Programming, OOP)라 부른다.

     

     

    매서드 단축 구문


    객체 리터럴 안에 메서드를 선언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단축 문법을 소개해보겠다.

     

    // 아래 두 객체는 동일하게 동작합니다.
    
    user = {
    	sayHi: function() {
        	alert("Hello");
        }
    };
    
    
    // 단축 구문을 사용하니 더 깔끔해 보인다. 
    user = {
    	sayHi() {  // "sayHi: function()과 동일하다"
        	alert("Hello");
        }
    };
    
    

     

    위처럼 function을 생략해도 메서드를 정의할 수 있다.

     

    일반적인 방법과 단축 구문을 사용한 방법이 완전히 동일하진 않다.

    객체 상속과 관련된 미묘한 차이가 존재하는데 지금으로썬 이 차이가 중요하지 않기에 넘어가자.

     

     

    메서드와 this


    메서드는 객체에 저장된 정보에 접근할 수 있어야 제 역할을 할 수 있다. 

    모든 메서드가 그런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메서드가 객체 프로퍼티의 값을 활용한다. 

     

    user.sayHi()의 내부 코드에서 객체 user에 저장된 이름(name)을 이용해 인사말을 만드는 경우가 이런 경우에 속한다.

     

    메서드 내부에서 this 키워드를 사용하면 객체에 접근할 수 있다.

     

    이때 '점 앞'의 this는 객체를 나타낸다. 

    정확히는 메서드를 호출할 때 사용된 객체를 나타낸다.

     

    let user = {
    	name: "John",
        age: 30,
        
        sayHi() {
        	// 'this'는 '현재 객체'를 나타낸다.
            alert(this.name);
        }
    };
    
    user.sayHi();   //John

    user.sayHi()가 실행되는 동안에 this는 user를 나타낸다.

    this를 사용하지 않고 외부 변수를 참조해 객체에 접근하는 것도 가능하다. 

     

    let user = {
    	name: "John",
        age: 30,
        
        sayHi() {
        	alert(user.name);  // this 대신 user를 이용함
        }
    };

     

    그런데 이렇게 외부 변수를 이용해 객체를 참조하면, 

    예상지 못한 에러가 발생 할 수 있다. 

    user를 복사해 다른 변수에 할당(admin = user)하고, user는 전혀 다른 값으로 덮어썼다고 가정해보자.

    sayHi()는 원치 않는 값 null을 참조할 것이다. 

     

     

    그러나 alert함수가 user.name대신 this.name을 인수로 받았다면, 에러가 발생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자유로는 this


    자바스크립트의 this는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의 this와 동작방식이 다르다.

    자바스크립트에선 모든 함수에 this를 사용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해도 문법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function sayHi() {
    	alert(this.name);
    }

     

    this 값은 런타임에 결정된다. 컨텍스트에 따라 달라진다.

    동일한 함수라도 다른 객체에서 호출했다면 this가 참조하는 값이 달라진다. 아래와 같이 말이다.

     

    let user = {name: "John"};
    let admin = {name: "Admin"};
    
    function sayHi() {
    	alert(this.name);
    }
    
    // 별개의 객체에서 동일한 함수를 사용함.
    user.f = sayHi;
    admin.f = sayHi;
    
    // this는 점(.)앞의 객체를 참조하기 때문에
    // this값이 달라짐.
    user.f();   // John (this == user)
    admin.f();  // Admin (this == admin)
    
    admin['f']();  // Admin (점과 대괄호는 동일하게 동작함)

     

    규칙은 간단하다. obj.f()를 호출했다면 this는 f를 호출하는 동안의 obj이다. 

    위 예시에선 obj가 user나 admin을 참조했을 것이다. 

     

    객체 없이 호출하기 this == undefined
    function sayHi() {
    	alert(this);
    }
    
    sayHi();  //undefined
    객체가 없어도 함수를 호출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코드를 엄격 모드에서 실행하면, this엔 undefined가 할당된다.
    this.name으로 name에 접근하려고 하면 에러가 발생한다. 
    그런데 엄격모드가 아닐 때는 this가 전역 객체를 참조한다. 
    브라우저 환경에선 window라는 전역객체를 참조한다. 
    이런 동작 차이는 "use strict" 가 도입된 배경이기도 하다.
    전역객체는 전역객체 파트에서 다루어보자.

    이런식의 코드는 대게 실수로 작성된 경우가 많다. 함수 본문에 this가 사용되었다면, 객체 컨텍스트 내에서 함수를 호출할 것이라고 예상하면 된다.

     

     

    자유로운 this가 만드는 결과
    다른 언어를 사용하다가 자바스크립트로 넘어온 개발자는 this를 혼동하기 쉽다.
    this는 항상 메서드가 정의된 객체를 참조할 것이라고 착각한다.
    이런 개념을 'bound this'라고 한다.

    자바스크립트에서 this는 런타임에 결정된다. 메서드가 어디서 정의되었는지에 상관없이 
    this는 '점 앞의'객체가 무엇인가에 따라 자유럽게 결정된다.

    이렇게 this가 런타임에 결정되면 좋은 점도 있고 나쁜 점도 있따.
    함수 (메서드)를 하나만 만들어 여러 객체에서 재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장점이지만,
    이런 유연함이 실수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단점이다.

     

    this가 없는 화살표 함수


    화살표함수는 일반 함수와는 달리 '고유한' this를 가지지 않는다.

    화살표 함수에서 this를 참조하면 화살표함수가 아닌 '평범한'외부 함수에서 this값을 가져온다.

     

    아래 예시에서 함수 arrow()의 this는 외부함수 user.sayHi()의 this가 된다.

     

    let user = {
    	firstName: "보라",
        sayHi() {
        	let arrow = () => alert(this.firstName);
            arrow();
        }
    };
    
    user.sayHi(); // 보라

    별개의 this가 만들어지는 건 원하지 않고, 외부 컨텍스트에 있는 this를 이용하고 싶은 경우 화살표 함수가 유용하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 화살표 함수 다시 살펴보기에서 다루겠다.

     

     

     

    참조 : https://ko.javascript.info/object-methods

    'Study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옵셔널 체이닝 '?.'  (0) 2020.06.03
    'new' 연산자와 생성자 함수  (0) 2020.06.03
    ‘for…in’ 반복문  (0) 2020.06.02
    크롬으로 디버깅하기  (1) 2020.06.02
    함수선언식 vs 함수표현식  (0) 2020.06.02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