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자바스크립트의 역사와 현재 그리고 미래!(드림코딩)Study/JavaScript 2020. 4. 1. 22:13
https://www.youtube.com/watch?v=wcsVjmHrUQg 개인을 위한 요약정리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영상을 이용하세요!! 1993년. 컴퓨터도 잘 모르는 사람들도 쉽게 쓸 수 있는 ui 요소가 더해진 첫번째 Mosaic Web Browser가 나온다. Mosaic Web Browser 의 개발팀을 이끌던 Marc Andreessen은 대학교를 졸업함과 동시에 Nescape라는 회사를 설립. 1994년. 회사에서 이 전에 만들었던 Mosaic Web Browser 기술을 더해 조금 더 ui요소가 더해진 Netscape Navigator를 만든다. 이당시에는 html와 css로 간단하게 웹페이지를 만들 수가 있었다. page와 page 에 링크를 걸어서 페이지 이동만 가능한 정말 ..
-
semantic elementStudy/html 2020. 3. 31. 22:12
의미 요소(semantic element) 의미 요소(semantic element)란 그 자체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요소를 가리킵니다. 즉, 요소가 자기 스스로 브라우저와 개발자 모두에게 자신이 사용된 의미를 명확히 전달해 주는 요소를 의미합니다. 의미 요소가 아닌 div 요소나 span 요소 등은 해당 요소가 무슨 목적으로 사용되었는지 코드를 살펴봐야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의미 요소인 table 요소는 코드를 보지 않아도 해당 요소가 표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는 것을 이름만 살펴봐도 바로 알 수 있습니다. HTML5에서 추가된 의미 요소 의미 요소설명 HTML 문서나 섹션(section) 부분에 대한 헤더(header)를 정의함. HTML 문서 사이를 탐색할 수 있는 링크(link)의 집합을 정의..
-
Github Desktopabout front-end 2020. 3. 30. 11:46
깃을 활용해서 코딩을 하는데에는 2가지 방법이 있다. 이전에 말했듯이, 1) Console 활용 2) GUI 프로그램 활용 (Github desktop , 소스트리 등등) Github desktop은 github가 만든 소프트웨어이다. https://desktop.github.com/ GitHub Desktop Simple collaboration from your desktop desktop.github.com 여기서 다운받을 수 있음. 코드의 변경사항을 초록색, 빨간색 으로 보기 쉽게 색상으로 알려주며 하단 창을 통해서 어떤 변경사항이 있었는지 commit을 작성할 수 있다. 우리의 깃을 깃허브 웹사이트와 연동시켜줌!!!! (콘솔로 일일히 해야하는 것을!) 콘솔은 빨라서 좋긴 하나, 이용하려면 명령어..
-
Git과 Github이란? (얄팍한 코딩사전 유튜브참조)about front-end 2020. 3. 29. 19:20
https://youtu.be/Bd35Ze7-dIw 1. git은 왜 필요한가? 1) 버전관리 -고객에게 의뢰를 받아 앱을 하나 개발한다고 생각해보자. 소프트웨어라는게 만들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계속해서 뭘 더하고, 개정하고 수정하게 된다. 그런데 나중에 이런 기능을 다시 가져오게 될 수도 있고 누가 실수로 잘못된 코드를 섞으면 복원해야 할 떄도 있고 코드가 어디가 어떻게 바뀌었는지 과거 내역을 확인해야 할 때도 있고 하기때문에 바뀌기 전 내역들도 중간중간 저장을 해 놓아야 한다. (나중에 언제 필요하게 될지 모름) -그래서 중요한 시점마다 파일들을 통채로 압축해서 날짜나 설명 등을 파일명에 넣고 따로 저장해두는데 이것들이 계속 쌓이면 용량도 많아지고 번거로워진다. 2) 협업 -작은 프로젝트라면 한명이서 ..
-
html이란 (.MDN)Study/html 2020. 3. 28. 11:12
1. html 이란? HyperText Markup Language 하이퍼텍스트(문장 중의 어구나 그것에 붙은 표제, 표제를 모은 목차 등이 서로 연결된 문자 데이터 파일) 마크 업 언어. (프로그래밍 언어는 아님) 형광펜으로 중요한 부분을 긋고 나누듯, 여기부터 여기까지는 head 야. 여기부터 여기까지는 body야. 여기부터는 이건 box고, a라고 이름을 지을게. 라고 컴퓨터에게 마크업해주는 것이다. 엄청 길고 못생긴 코드들을 작성할 거라, 브라우저에게 각각 이 코드들이 무엇을 뜻하는지 html을 통해 마크업해줘야 한다. "웹을 이루는 가장 기본적인 빌딩블록" 웹 컨텐츠의 구조와 의미를 결정한다. html은 웹 브라우저에 표시되는 글, 이미지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마크업'을 사용한다..
-
신입개발자 공부방법 (드림코딩:엘리)Study/공부방법 2020. 3. 26. 14:02
https://youtu.be/cuA_FzidQB8 본 글은 드림코딩 엘리님의 영상의 내용을 담았습니다. 저의 개인적인 공부를 위해 기록한 글로서, 더 많은 정보를 얻고자 하시는 분은 영상을 참고하세요:) 1. 책으로 공부 할 수 있는 것들 -세월이 흘러도 더이상 변하지 않는 지식들 -안정기에 접어든 언어들 2. 책으로 공부 하면 안되는 것들 -끊임없이 개발 중인 아이들(언어,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 -한국어로 번역된 책(오래된 지식..) 3. 그러면 어떻게 공부를 해야할까? -공식사이트에 가서 공부한다. ex) kotlin 언어를 배우고 싶으면 kotlin 공식사이트에 가서 잘 정리된 문서를 읽는다. 공식사이트는 이 언어가 왜 탄생했으며, 기존 다른 언어의 어떤 점을 보완했는지 신선한 데이터를 공부할..
-
신입개발자 포트폴리오 관리방법 (드림코딩:엘리)about front-end 2020. 3. 25. 14:54
https://youtu.be/KJUdqPDAtTI 드림코더 엘리님의 영상의 내용을 적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영상을 참조하세요! 신입개발자 포트폴리오 관리방법 개발공부를 잘하기 위해서는 작은 것이라도 직접 조금씩 스스로 프로젝트를 만들어 나가며 배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1. 프로젝트 단위로 공부해나갈 경우의 장점 1) 실용적인 방법들을 배울 수 있음 2) 결과물이 눈으로 보이기 때문에 성취감+작은 모멘텀이 생김 3) 포트폴리오에 추가할 수 있음. 4) 문제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음 (이게 가장 중요한 이유임) 2. 어떻게 프로젝트를 만들어 나가야 하는가? 프론트엔드의 경우: 1) html+css : 정적인 반응형 웹사이트 몇가지 만들어보기. (실전 배움) *반응형을 만들어 좀 더 ui요소가 가미..